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11.15
제약/바이오 기업 전체 시가총액 및 비중 / 덴탈, 의료미용 기업 영업이익
[대신증권 한송협] 덴탈 의료기기 업종 2023년에도 증익 기대

국내 의료기기 섹터 내에서 ‘덴탈 의료기기’ 분야의 기업들이 2023년에도 높은 성장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하여 의료기기 섹터 중 덴탈 의료기기 기업들에 주목한다. 현재와 같은 경기 상황에서 ‘수혜를 받을 수 있는’ 분야는 아니지만 ‘부정적 영향이 비교적 낮은’ 섹터로 보인다. 국내 덴탈 업체들은 절대적인 매출 규모 성장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발생 구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근 개별 기업 노이즈 및 장세 악화로 의료기기 기업의 주가는 연초 대비 -29% 하락하였다. 다만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는 성장성의 그림은 크게 바뀐 부분이 없다.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2023년에도 소폭의 외형 성장 및 증익이 기대되며, 관세청에서 제공되는 수출입 실적에 따라 양호한 주가 흐름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현 상황에서도 시장의 성장성이 유지되는 국가로 수출이 증가할 업체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덴탈 업종의 산업적 특징과 최근 트렌드, 그리고 국내 기업 투자 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