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2.07.26
폐기물 분류
[신한금융투자 오강호, 심원용] Re :Cycle


폐기물이란 생활 및 사업활동에 필요 없게 된 물질로 정의된다. 폐기물은 생활폐기물 및 사업장폐기물(산업폐기물)로 구분되며 처리 되고 있다. 산업폐기물은 다시 사업장일반폐기물, 건설폐기물, 지정폐기물로 분류된다.
연간 폐기물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환경부에 따르면 2015년 1억 5천만톤에서 2020년 약 1억 9천만톤 수준까지 증가했다.
이중 건설 폐기물의 경우 2017년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2020년의 경우 약 8천만톤 수준까지 늘어 났다.
폐기물별 주요 처리자는 다르다. 처리 주체는 크게 자가처리, 자치단체, 처리 업체로 구분된다. 민간 사업자(처리 업체)의 경우 주로 산업 폐기물(매립, 소각, 재활용 등) 처리를 맡고 있다.
폐기물 시장은 환경 산업으로 분류된다. 공공재의 특성을 갖추며 신규 설비 투자 및 소비 패러다임의 영향을 받고 있다.
폐기물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