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7.19 구리, 인프라 수요 급증에 공급난
[글로벌이코노믹 이진충] 구리, 인프라 수요 급증에 공급난…매년 2000만톤 이상 소비

  • 구리는 건물 건설(배선 및 배관), 발전/송전, 전자 제품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매년 2000만 톤 이상이 소비되는 가장 중요한 금속 중 하나이다.

  • 이 금속은 운송의 핵심 요소이기도 하며, 전기화에 점점 더 중점을 두면서, 전기자동차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보다 약 4배 많은 구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다.

  • S&P글로벌 최근 보고서도 금세기 중반까지 전 세계의 구리에 대한 수요가 연간 53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현재 전 세계 광산 생산량 2100만 톤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 S&P글로벌 보고서에 따르면 태양전지판과 전기차 등 재생 가능한 기술 사용이 늘고 있는 가운데 구리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이 여전히 힘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국가들은 전통적인 '블랙탑' 인프라와 전기 자동차/배터리 공장 및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와 같은 소위 '친환경' 인프라와 같은 여러 대규모 수년간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배 밖으로 밀어내고" 있다

  • 중국은 이것을 하기 위해 더 많은 광물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베이징과 그 국영 기업들은 지난 20년 동안 해외 광산 프로젝트를 장악하거나 외국 광산의 지분을 매입해 왔다.

  • 중국의 현재 인프라 지출 계획은 2022년 한 해에만 지난해 11월 미국의 약 1조20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패키지를 통과시켰던 것의 거의 두 배다

  • 중국 계획 경제의 중요한 부분인 인프라 투자는 중국 정부가 요즘처럼 지지부진한 경제를 성장 촉진할 필요가 있을 때 자주 이용된다.

  • 마이닝 테크놀로지가 국제 구리 협회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유라시아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일대일로 프로젝트가 2027년까지 구리 수요를 650만 톤으로 증가시킬 것으로 나타났다.

  • 이 정도의 구리는 2021년에 생산된 2100만톤의 거의 3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이다. 즉, 기존 사업장에서 채굴하거나 새로 발굴해야 하는 새로운 구리 공급량이다.

  • 미국은 또한 도로, 교량, 전력 및 수도 시스템, 교통, 철도, 전기 자동차 및 광대역, 공항, 항만 및 수로의 업그레이드에 사용할 자체적인 1조 2천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패키지를 추진하고 있다.

  • 테슬라에 전기차 배터리를 공급하는 일본의 파나소닉이 제안한 캔자스 주에 있는 40억 달러 규모의 배터리 공장 설립 제안자들은 미래의 자재 공급망에 대해 고민해 봤으리라 생각한다. 파나소닉은 구리와 함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리튬, 황화물 니켈, 흑연 등 모두 공급이 부족하거나 부족하게 될 배터리 금속 원자재도 공급해야 할 것이다.

  • 자동차 제조업체와 배터리 제조업체는 성장하는 전기 자동차 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원하는 만큼 많은 공장을 지을 수 있다. 그러나 만약 구리 공급이 충분하지 않으면, 아마 회사를 사지로 몰아넣은 꼴이 될 것이다.

  • S&P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는 프로젝트 부족으로 이르면 2025년부터 세계 광산 생산량이 지난해 21개에서 감소하는 등 구리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나난해 2150만톤에서 2030년 거의 1590만톤 수준으로 세계 채굴 생산량이 감소할 것이다.

  • 외신은 20년 이내 세계의 구리 광산기업들이 단순히 전기 자동차의 30% 보급률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재 연간 2000만 톤에서 4000만 톤으로 두 배의 세계 생산량을 늘려야 한다고 추정했다.

  • CRU는 신규 자본 투자가 없으면 2034년 전 세계 구리 광산 생산량이 1,200만 톤 아래로 떨어져 1500만 톤 이상의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 CRU에 따르면, 2035년 이전에 광석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는 구리 광산이 200개가 넘으며, 그 자리를 대체할 새 파이프라인을 갖춘 광산도 충분하지 않다.

  • 주요 구리 광산기업들이 증산을 위해 저급 황화물 퇴적물로 눈을 돌리고 있어 그들의 물 소비량은 초당 20.9세제곱미터(평균 가구당 약 절반)까지 뛰어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물 부족 상황은 사실상 그들의 생산 능력에 큰 저해 요인이다.

  • 빠르면 2025년에 구리 부족을 피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가 새로운 구리 광맥을 발굴하는 데 사용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S&P글로벌의 예측이 정확하다면, 2050년까지 연간 5300만 톤이 필요하다. 현재 광산 공급량 2100만톤의 두 배가 넘는다.

  • 미국과 중국이 발표하는 새 인프라 시설 건설 규모가 대부분 믿기 어려울 정도로 크지만, 충분한 구리(및 다른 광물)를 조달할 수 없다면 실제로 얼마나 건설될 수 있을까?

  • 앞으로 3년 안에 구리 경색 국면이 도래할 예정이지만 연준의 금리 인상 기대감과 글로벌 경기침체 시 금속 수요 감소에 따른 구리 가격 하락이 이 같은 사실을 외면하게 만들고 있다.

  • 금속 칼럼니스트인 앤디 홈(Andy Home)은 "구리 가격과 주식간 연결되는 점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구리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금속 거래소 창고의 재고는 낮게 유지되었다.

  • 홈에 따르면 가격을 올려야 하지만, "그러나 현재 서구 불황이 산업용 금속 컴플렉스를 강타할 것이라는 우려로 거시적 경제상황이 미시적인 구리 시장을 능가하고 있다"고 한다.

관련 목록
비철금속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