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2.07.07
물류 로봇 도입이 더딘 이유
[유진투자증권 양승윤] 로봇과 공존하는 세상


물류 로봇, 나아가야할 방향성은? Raas 와 AMR 에 주목!
물류 로봇의 본격적인 보급을 위해서는 먼저 도입 비용이 낮아져야 한다. 그리고, 물량 변화와 주위 환경 변화 등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이러한 Pain point 에 주목한 다수의 기업들이 렌탈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와 솔루션 제공에 나서고 있다. 대표적으로 Geek+는 로봇 렌탈 서비스 및 오퍼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번한기에 1 개월 단위로 로봇 렌탈이 가능한 쉐어링 서비스와, 작업량에 따른 월별 요금 부과 등 다양한 형태의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RaaS 활성화에 따라 물류 로봇 도입에 대한 가격 장벽이 점차 낮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로봇 이용 기업의 수요에 맞는 유연한 활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AMR은 AGV와 달리 별도의 유도체 등 고정 인프라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빠른 설치(1~3개월)가 가능하고, 유연한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산업용 로봇으로 비유하자면, 협동로봇과 특성이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AMR과 로봇 팔의 조합으로 물건 이송부터 포장, 하역 등 더욱 다양한 물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MR 외에 추종 로봇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 트위니의 따르고 시리즈와 일본 ZMP의 Carriro FD와 같은 추종 로봇은 사람을 인식하여 따라다니며 무거운 짐을 일일이 옮기는 업무 부담을 줄여주고, AGV 처럼 별도 인프라를 갖출 필요없이 사용이 가능해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관련 목록
로봇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