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25.1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5.1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5.1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5.1Q 8주에 80%이상 상승 2025.1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5.1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5.1Q 2주에 15%이상 하락 2025.1Q 반등강도(30~40)
2016.11.03
자율주행차 : 장기적으로 불러올 사회적 변화, 비즈니스 모델 변화
[미래에셋증권 박인우] 자율주행차 밸류체인 대해부


완성차 업체들에게 자율주행 시장의 성장은 기회가 될 수도, 위기가 될 수도 있다. 우선 기회 측면에서 보면, 신차의 평균판매가격은 많은 전장기술 적용에 따라 상승할 수 밖에 없다. 독자적인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하고 고유의 브랜드 이미지를 잘 확립한 완성차 업체들은 매출 성장에 따른 이익규모 확대를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A/S 사업의 매출 역시 확대될 수 있다. 물론 교통사고율이 떨어질 가능성은 부정적 요소이지 이는 훨씬 장기적인 스토리이며, 오히려 차량 판매대수 증가와 고급 기술 적용에 따른 대당 정비비용 상승 및 카셰어링 업체들의 연간 유지보수비 증가 등이 완성차 업체 및 정비 업체들의 A/S 사업 매출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위기는 독자 소프트웨어 기술 확보에 뒤쳐진 업체들에게 찾아올 것으로 예상된다. 비싼 라이센싱 수수료를 ICT 업체에 내야 한다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고, 고유한 브랜드 색깔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시장점유율을 점차 잃어갈 수도 있다.
관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