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18.08.20
2G/3G 망을 구성하는 주요 장비 및 업체 정리
[메리츠증권 정지수] 5G 산업 심층 분석

장비로 구성한 2G/3G 망
2G/3G 유무선 네트워크 구조를 주요 장비로 간단히 도식화하면 [그림18]과 같다. 2G/3G 무선 네트워크에서는 중계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많은 사업자들이 중계기 시장에 진입했으나, 4G LTE 전환 이후 대부분의 사업자들이 시장을 이탈해 현재까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는 쏠리드, 기산텔레콤 등 일부 사업자에 불과하다. 국산 통신장비는 중계기, FTTx 등 주로 유무선 가입자망 장비와 전송거리가 짧은 중/소용량 광전송장비가 대부분이며, 고가의 기술 집약적인 백본망 장비는 화웨이, 시스코 등 외산 장비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관련 목록
5G/통신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