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태양광 밸류체인 가격 전망
22년 하반기, 태양광 밸류체인 내 제품들은 타이트한 수급 때문에 전반적으로 이전보다는 높은 가격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 폴리실리콘은 22년 하반기에도 가격이 다소 유지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한다. 기존에는 폴리실리콘의 가격 하락 전망이 우세했으나, 21년 하반기 발표된 중국의 태양광 지원 정책들과 유럽의 에너지 전환 때문에 수요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었다. 그리고 PV InfoLink의 증설 전망치를 보면, 많은 물량들이 4분기에 몰려있고 공장 정상화 기간이 6개월 정도 걸리기 때문에, 당장 하반기에 공급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 않다. 폴리실리콘 공급량은 21년 공급량 대비 2022년 30%, 2023년 50% 추가 공급될 예정이다. 2022년 폴리실리콘 생산량 기준(86만톤)으로 제조할 수 있는 모듈량은 2022년 314GW로 추정된다
셀/모듈 가격은 폴리실리콘의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고, 유럽 및 미국의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가격 전가가 쉬워져 가격 상승을 전망한다. 2020년부터 이어진 폴리실리콘 및 웨이퍼 가격의 상승은 전지 업체들의 마진 악화를 야기했다. 21년까지는 균등화발전비용이 낮아야 했기 때문에 모듈/셀 업체들의 가격 전가가 어려웠다면, 이제는 가스 가격 및 전력 생산 비용이 모두 올랐기 때문에 충분히 가격 전가를 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되었다.
OCI는 상승한 폴리실리콘 가격이 유지되면서 하반기에도 호실적이 예상되며, 한화솔루션은 셀/모듈이 가장 필요한 유럽과 중국을 피하고자 하는 미국에 동시에 수출할 수 있어 3분기에는 적자를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