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1.11 WBG 전력반도체 시장 전망
[KEIT 김진섭, 김기진] 전력반도체 최신 기술 이슈 및 향후 전망

★ 기존 전력반도체 시장은 주로 파워 서플라이 전력 변환, 그리고 재생에너지 전력 변환 및 저장 등에 사용되어 전력반도체의 부피, 무게 등의 제약이 적은 Si 기반 전력반도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관련 시장은 이미 기술 성숙기에 진입


★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탄소중립”을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기로 합의되고 있으며, 이를 이끄는 기술이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는 EV 사용의 확대 임


★ EV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전기 충전 인프라, OBC, 모터 인버터, 컨버터, 인포테인먼트용 컨버터 등 전력반도체의 새로운 수요를 요구 있으며, 이런 수요는 기존 Si 기반 전력반도체 시스템과 달리 차량 안에 탑재되는 만큼 안정성,소형화, 경량화를 갖춘 새로운 전력반도체라는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창출


★ 이런 기술적 트렌드를 따라 기술 선진국 들이 SiC 기반/GaN 기반 전력반도체들을 앞 다투어 투자하고 있으며, 시장선점을 위한 원천 기술 확보에 주력 중


★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Si 기반의 전력반도체 트렌드를 벗어나지 못하고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새로운 전력반도체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기업들이 현저히 부족한 상황


★ 국내에서 WBG 전력반도체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Foundry 기반 기업이 존재해야 하며 이를 활용할 시스템 개발인력을 육성해야 하는데, 이는 장기간 투자가 필요한 기술 분야로써 정부와 기업이 손잡고 장기간에 걸친 R&D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함


★ WBG 반도체 소자의 특성은 아직 연구 초기 단계로 소자 특성 개선 및 성능 분석에 대한 지속적인 R&D 투자로 성능 극대화 및 성능 안정화를 달성해야 함


★ Si 기반 전력반도체 시장 에서도 전체 시장의 90%이상 부품 을 해외에서 수급하고 있는 현실에서 차세대 전력반도체에서도 시기적절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향후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산업에 핵심 소재, 부품 기술을 확보하지 못할 것임


★ 최근 정부의 전력반도체 추진 계획을 살펴보면 이런 우려를 불식시킬만한 정책들을 준비하고 있어 한국 전력반도체 시장의 새로운 도약을 기대하게 만들고 있음

관련 목록
차/전력반도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