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31 수입곡물 관련 산업의 연관도
[KREI 김종진·김지연·정대희·박성진·김범석·윤성주] 우크라이나 사태의 국제곡물 시장 영향 분석

국제가격 상승에 따른 곡물 수입단가 상승은 국내 가공식품, 외식, 배합사료 및 축산물 물가에 특히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됨.


- 곡물 국제가격은 수입곡물 가공업체들의 선도구매로 3~7개월의 시차를 두고 수입단가에 전이되며 이후에도 일정 정도의 차를 두고 배합사료, 외식, 가공식품 물가에 전이되는 것으로 분석됨.

- 가격전이(price transmission)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김종진 외(2020)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입단가 10% 상승은 가공식품과 외식 소비자물가를 각각 3.40%, 0.58% 상승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또한 배합사료 생산자물가는 5.3%, 축산물 소비자물가는 1.72~2.94% 상승시키는 것으로 계산됨.

-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박성진 외(2019)의 연구에서는 수입곡물 가격 10% 상승은 제분 5.7%, 사료 3.9%, 전분 및 당류 3.7%, 유지 3.6%, 가금 2.4%, 면류 1.9% 가격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분석됨.

관련 목록
음식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