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4.19 궤도별 인공위성 / 국가별 인공위성 현황
[유진투자증권 정의훈] 우주를 줄께 - 재사용 로켓의 선물

저궤도위성(Low Earth Orbit, LEO) 은 지구 궤도 200~2,000km 에서 지구를 공전하는 위성이다. 현재 지구 궤도에 존재하는 인공위성의 약 77.5% 가 저궤도 인공위성이다 지구 탐사 위성 등의 관측 위성과 통신 위성 등이 여기에 속한다 지구와 가깝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많이 받아 위성의 공전 속도가 매우 빠르다 높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약 90 분에 지구를 한 바퀴 돈다. 빠른 속도와 더불어 우주 입자선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 에 평균적인 수명은 3~7 년 정도로 정지궤도위성 평균 12~20 년 에 비하여 비교적 사용 수명이 짧다. 


정지궤도위성(Geostationary Earth Orbit, G EO) 은 지구 궤도 약 35,800km 에서 지구를 공전하는 위성이다 정지궤도위성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위성의 공전주기 와 지구의 자전주기 가 같다는 것이다. 즉 지구에서 보았을 때 항상 정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위성이다 1 개의 위성으로 지구표면의 1/3 면적을 접촉할 수 있어서 통신 방송 관측용 인공위성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위치다. 전체 인공위성의 약 16.7% 를 차지하고 있어 , 저궤도위성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인공위성이기도 하다 주로 통신과 방송 기상관측 등을 목적으로 하는 위성들이 있다. 


중궤도위성(Medium Earth Orbit, MEO) 은 2,000~ 2 만 5 ,000km 즉 저궤도와 지구정지궤도 사이의 위성들을 의미한다 . 궤도 범위는 넓지만 전체 위성의 약 4.1% 정도만 차지한다 이중에서도 대부분의 위성이 위치정보 (GPS)를 위한 항법위성이다


고궤도위성(Highly Elliptical Orbit, HEO) 은 고타원 궤도위성이라고도 하는데 , 일정한 고도로 공전하지 않고 원지점 고도가 가장 높은 지점 이 약 4 만 km, 근지점 고도가 가장 낮은 지점 이 약 1,000km 의 가늘고 긴 타원형 궤도로 공전한다 GPS, 통신 , 과학 등의 위성이 있지만 전체 위성 중 약 1.7% 에 불과하다

관련 목록
항공/우주/방위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