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3.01.26
한국 산업용 로봇 상장사 밸류체인 / 협동 로봇 제조기업별 시장점유율
[신한투자증권 기업분석부] 로봇 : 혁신성장


한국의 협동 로봇 시장
한국의 협동 로봇은 가격 경쟁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선진국의 경우 5,000만원 수준의 평균 판매 단가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2,000만원 초중반 수준이다. 가격경쟁력의 이유는 자체 로봇 부품 제조이다. 협동 로봇의 원가는 감속기, 모터, 본체, 제어장치 순으로 구성된다. 아직까지 감속기는 일본 기업들이 독과점 중이나 다른 부품들은 자체 생산이 가능한 수준까지 빠르게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 협동 로봇은 유의미한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지 않다. 실제 스펙 관점에서 봐도 경쟁사 대비 적재량 및 운반길이가 높지 않다. 적재량은 20kg를 넘지 못하며, 길이는 1,500mm를 넘지 못한다. 다양한 적재량 및 길이의 수요에 대응하는 협동 로봇 모델의 공급 자체가 부족한 상태다. 다만 최근 한국 제조사 및 부품업체의 기술 경쟁력을 살펴보면 향후 글로벌 업체로의 도약도 기대해 볼만하다.
국내 로봇 관련 상장사는 크게 1) 로봇에 들어가는 주요 부품을 만드는 경우, 2)서비스용, 산업용 등 완성로봇을 제조하는 경우, 3) 각 산업에 대응하도록 로봇의 SW를 구축해주는 경우 세 가지로 나뉜다.
관련 목록
로봇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