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1.11.22
탄소배출권과 탄소배출권 크레딧의 개념
[KB증권 김준섭] [2022년 전망] 탄소 경제의 시작, 올라타자

국내에도 주로 CDM사업을 통해 확보한 탄소배출권 크레딧을 확보하여 판매하는 기업들이 있다. 주로 온실가스 저감장치 투자를 통해 확보한 크레딧을 확보하여 판매하거나, 해외 조림사업을 인정받아 탄소배출권 수익을 얻는 방법이다. 온실가스 저감장치 투자를 통해 확보한 크레딧을 판매하는 경우는 휴켐스, 후성, KC코트렐 등이 대표적이다. 휴켐스는 온실가스 저감을 통해 매년 15만톤 내외의 탄소배출권 크레딧을 판매하고 있다. 후성은 에어컨 냉매 가스 제조과정 중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탄소배출권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KC코트렐은 탄소포집 및 저장 사업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저감한 분에 대해 탄소배출권 크레딧을 인정받고 있다. 에코프로에이치엔은 온실가스 저감장치를 설치하면서 2022년부터 10년간 탄소배출권 크레딧 판매가 가능할 전망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한솔홈데코는 자회사 한솔뉴질랜드가 뉴질랜드에서 진행하는 조림사업을 통해 뉴질랜드의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크레딧을 판매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