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09.09 OLED 발광층 소재의 구성 (호스트, 도펀트)
[키움증권 김소원, 박유악, 이원주] 한권으로 끝내는 OLED소재 기초설명서

프라임소재 는 발광층 (EML)과 정공수송층(HTL) 사이에 증착되는 소재이다. Red, Green, Blue 프라임소재가 각각 존재하며 , 음극 에서 넘어온 전자(Electron)가 발광층 밖으로 범람하지 않고 발광층에서 정공(Hole) 을 만나 빛을 내 도록 돕는다. 전자가 넘어가 지 않도록 저지하 는 역할을 수행 하기 때문에 전자방어층 EBL; Electron Blocking Layer) 으로도 불린다.


전자방어층이 있듯이 정공을 방어하는 층도 존재한다. 프라임 소재의 반대 역할 즉 정공 (Hole)이 범람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 은 a-ETL 이 수 행 하며 HBL(Hole Blocking Layer) 이라고도 불린다. A-ETL소재는 발광층과 전자수송층(ETL) 사이에 위치하며 양극에서 넘어온 정공이 전자수송층으로 넘어오지 않고 발광층에 머 물러 있도록 제어 한다 특히 A-ETL 은 Blue OLED 소재의 발광 효율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앞서 언급했듯이 현재 Red 와 Green 은 인광 소재가 사용되는 반면 Blue 는 형광 소재가 사용되어 내부 양자 효율이 최대 25% 수준이다 따라서 최대한 에너지 손실 없이 발광 효율을 끌어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압이 높아지면 반대 전극으로 가려는 전자와 정공이 더 많아지므로 A ETL 과 프라임을 통해 전자와 정공이 최대한 범람하지 않고 발광층에서 만날 수 있도록 제어 한다.

관련 목록
디스플레이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