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4.4Q 분기별 매출액 성장 2024.4Q 분기별 영업이익 성장 2024.4Q 분기별 수주잔고 성장 2024.4Q 8주에 80%이상 상승 2024.4Q 신저가대비 100%이상 상승 2024.4Q 50일신고가+신저가대비 70%이상 2024.4Q 2주에 15%이상 하락 2024.4Q 반등강도(30~40)
2023.11.17
단결정 양극재
[미래에셋증권 김철중] 배터리 : 다운 사이클을 대하는 자세


- 다결정 양극재 구조는 배터리 압연공정(양극을 특정 두께로 코팅) 및 충/방전 과정에서 입자간의 균일 발생이 빈번하다. 이는 배터리 내 가스 발생을 유발하여 안정성을 훼손하고, 충방전 주기를 감소시켜 수명에 영향을 준다.
- 단결정 양극재는 금속 입자를 단일 입자화해 압연 공정 시 균열이 제한적이다. 배터리 내부 가스 발생 위험이 감소하고, 충방전 효율을 높여 배터리 수명 개선이 가능하다
- 이러한 장점에도 초기 100% 단결정 양극재로의 전환은 제한적이다.
1) 높은 저항 값으로 인한 배터리 온도 상승,
2) 압연 공정 시 단결정 입자 손실의 문제점이 잔존하기에,
초기에는 “다결정 대구경 + 단결정 소구경”의 배합으로 배터리 에너지밀도 증가, 안정성 및 수명 개선이 점진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한다
- 단결정 양극재는 입자 크기의 균일도가 중요하다.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큰 경우 Li의 확산 길이를 증가시키고, 전도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입자의 크기를 줄이면 표면적 대비 부피 비율과 표면 열화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