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GM/테슬라에 필요한 배터리/양극재 CAPA 추정

2023년 GM의 고성장 시작 - LGES

​

2023년이 가장 기대되는 업체는 GM이다. GM의 전기차 모델은 아직까지 Bolt EV로 라인업이 열악했다. 볼트는 전기차 플랫폼도 적용 안된 모델이며, 리콜 사태 까지 겹치며 수요도 부진하다. 다른 업체들은 원가부담으로 인해 전기차 가격을 인상 하고 있음 에도 GM은 오히려 볼트의 가격을 인하했다. 그러나 GM도 23년부터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얼티엄이 적용된 전기차 모델이 대거 출시 될 예정이다. 노린 것인지 우연인지 모르겠지만, IRA 법안이 통과되며 보조금이 지급되는 시점과 겹친 점도 긍정적이다.

2023년 출시 될 Blazer, Equinox, Silverado, Sierra 등은 내연기관 버 전 부터 판매량이 높던 모델들 로 미국 내 이들의 합산 판매 비중은 6~8% 수준을 유지해 왔다. 해당 모델의 출시로 GM은 미국 내 인기 많은 세그먼트별 전기차 라인업을 갖 출 것이다. 2021년 미국에서 는 SUV-C/D/E, 픽업트럭, C/D세그먼트의 판매 비중이 각각 50%, 20%, 20%로 판매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SUV-B/C/D, B/C, A/D 세그먼트의 판매 비중이 각각 33%, 30%, 10% 수준이다. 미국은 특정 세그먼트의 판매 비중이 월등히 높고, 큰 차종이 수요가 좋다. GM의 신차 효과가 기대되는 부분이다.

​

GM 생산량 증대 : LGES 밸류체인 수혜 전망

​

GM에 독점적으로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으며, JV로 파트너십이 강화되고 있는 LGES 밸류체인의 수혜가 기대된다. GM은 2025년 북미에만 100만대(약 110GWh) 전기차판매를 목표하고 있다. 혼다도 GM의 얼티엄 플랫폼을 공유하기로 했으며, 2024년 얼티엄 플랫폼 기반 첫 SUV를 출시할 예정이다. 얼티엄셀즈에는 포스코케미칼과 LG화학이 주력으로 양극재를 납품할 예정이다. 두 기업 모두 캐파 증설에 따른 안정적 가동률 상승이 예상된다.



GM/테슬라에 필요한 배터리/양극재 CAPA 추정
[한화투자증권 이용욱] 전기차 시대, 그 많은 싱아를 누가 다 먹을까? [2022.10.13]

현대/기아차와 포드의 필요한 배터리/양극재 CAPA 추정

포드와 현대/기아차 두 업체를 핵심 벨류체인으로 보유하고 있는 SKon과 SKon에 주력으로 양극재를 공급 하는 에코프로비엠은 캐파 증설에 따라 안정적 가동률 상승이 예상 된다. 포드는 2023년말 60만대(약 60GWh), 2026년말 200만대대(약 200GWh) 전기차 “생산”을 목표하고 있고, 현대/기아차는 2026년 165만대(약 116GWh), 2030년 324만대(약 227GWh) “판매”를 목표하고 있다.

​

SKon은 2025년 말 220GWh의 캐파 증설을 계획하고 있으나, 두 고객사 외에도 폭스바겐/BAIC/다임러 등의 고객사도 고려하면 220GWh도 충분한 물량은 아니다. 양극재도 25년말 최소 30만톤 필요할 전망이다. 삼성SDI와 SKon으로 양극재를 납품 중인 에코프로비엠은 캐파 증설에 따라 안정적 가동률 상승이 예상된다.



현대/기아차와 포드의 필요한 배터리/양극재 CAPA 추정
[한화투자증권 이용욱] 전기차 시대, 그 많은 싱아를 누가 다 먹을까? [2022.10.13]


배터리소재 업체별 고객사 비중 추정
[한화투자증권 이용욱] 전기차 시대, 그 많은 싱아를 누가 다 먹을까? [2022.10.13]


배터리소재 밸류체인
[한화투자증권 이용욱] 전기차 시대, 그 많은 싱아를 누가 다 먹을까? [2022.10.13]




국내 산업용/서비스 로봇 관련 대기업 사업 현황
[NH투자증권 김병연, 김영환, 임지용, 김채윤, 강경근] 준비된 미래, 로봇 [2022.10.13]


국내 로봇 구동 국산화 관련 기업 사업 현황
[NH투자증권 김병연, 김영환, 임지용, 김채윤, 강경근] 준비된 미래, 로봇 [2022.10.13]


국내 완제품 로봇 출시 관련 밸류체인 포진 기업 사업 현황
[NH투자증권 김병연, 김영환, 임지용, 김채윤, 강경근] 준비된 미래, 로봇 [2022.10.13]


2000년대 톱스타 배우들 드라마 출연료
[메리츠증권 정지수] Content Kingdom [2022.10.13]

국내 OTT 시장 재편 진행 중

토종 OTT 중에서는 쿠팡플레이가 쿠팡 ‘로켓와우’와 연계한 프로모션, 실시간 스포츠 중계를 앞세우며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이다. 반면, 최근 매각설이 나오고 있는 왓챠(Watcha)는 사용자수가 1월 107만명에서 9월 88만명으로 급감하며 고전하고 있다. 글로벌 OTT에 맞서는 토종 OTT들에 대한 시장 선호도가 명확해지는 시기인 만큼 경쟁력을 잃은 중소형 OTT들의 소멸은 불가피하며, 결국 자본력과 콘텐츠 경쟁력을 보유한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3강 체제로 재편될 전망이다.



국내 OTT 시장 재편 진행 중
[메리츠증권 정지수] Content Kingdom [2022.10.13]

2022년 7월 미국 TV 시청률 현황

2022년 7월 기준 Nielsen의 미국 TV 시청률 조사에 따르면, 스트리밍 서비스는 34.8%로 케이블TV 시청률(34.4%)을 처음으로 역전했다. 성장률은 스트리밍 서비스가 전년 대비 +22.6%로 크게 상승한 가운데, 지상파TV와 케이블TV가 각각 -9.8%, -8.9% 하락하며 미국 내 코드커팅(Cord Cutting)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증명했다



2022년 7월 미국 TV 시청률 현황
[메리츠증권 정지수] Content Kingdom [2022.10.13]

글로벌 철강 수요 산업 비중, 글로벌 조강 생산 능력

대규모 장치산업인 철강업은 자본집약적이며, 소재산업의 특성상 전후방 산업과의 연관효과가 크다. 철광석, 철스크랩 등을 녹여 쇳물을 만들고, 여기에서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연주 및 압연과정을 거쳐 철강재를 완성한다. 이렇게 생산한 열연, 냉연, 후판, 철근, 강관 등은 자동차, 조선, 가전, 기계, 건설 등의 산업에 기초소재로 투입된다.


철강 산업은 대규모 장치산업이기 때문에 생산능력을 수요의 흐름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조정하기 쉽지 않다. 2000년대 중국이 막대한 고정자산투자를 집행하는 과정에서 글로벌 철강 생산능력이 급격히 증가했다. 최근에는 인도가 과거 중국 못지않은 투자를 집행하며 공급과잉 해소를 어렵게 만들고 있다.





글로벌 철강 수요 산업 비중, 글로벌 조강 생산 능력
[신한투자증권 최민우, 박광래] 종합상사 [2022.10.13]

글로벌 LNG 수입, 수출 전망

2022년 4월~7월 기간 유럽 LNG 수입은 4,000만톤 가량으로 전년 동기대비 58% 급증했다. 동 기간 아시아지역의 LNG 수입은 8,260만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6%감소했다.


아시아 지역의 LNG 수입 감소는 중국의 LNG 수입이 크게 줄였기 때문이다. 중국은 내수 석탄 생산량이 크게 증가했고, 상반기 수력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올해 상반기 307GW(+18% YoY)을 기록하며 증가한 영향도 컸다. 하지만, 8월부터 최악의 가뭄이 이어지며 수력 발전량 감소가 예상된다. 하반기 중국의 LNG 수입은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


일본의 LNG 수입도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 Freeport LNG 액화플랜트가 재가동될 때까지 현물시장에서 LNG를 수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일본 정부는 동절기 비축용 가스 확보를 위해 일본석유천연가스공사가 LNG를 대량으로 수입할 수 있는 법적, 행정적 조치를 마련하며 LNG 수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글로벌 LNG 시장은 러-우 전쟁으로 인해 현재 유럽으로 시선이 집중된 상황이다. 유럽의 경우 그동안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받고 있던 러시아의 천연가스 감소분을 LNG 수입을 통해 수급의 균형을 맞춰야하기 때문이다. 신규로 투자한 FSRU(부유식 재기화터미널)가 2023년부터 가동되기 시작하며 유럽의 LNG 수입은 단기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작년 7,730만톤에서 올해 1.21억톤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2026년 1.05억톤으로 안정화될 전망이다. 높은 LNG가격으로 LNG 액화 및 기화 터미널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주요 LNG 수출국으로 미국, 호주, 카타르를 꼽을 수 있다. 카타르는 호주가 LNG 최고 수출국 지위를 차지하기 전인 2006~19년 기간 글로벌 LNG 수출 1위 국가였다. 올해는 신규 Capa의 증가와 기존 프로젝트의 생산량 확대에 힘입어 미국이 글로벌 LNG 최고 수출 국가가 될 전망이다. 2022년 9월 미국의 LNG 수출 Capa는 연간 약 8,900만톤 정도인데, 현재 건설중인 액화설비들에 의해 2030년 초 연간 약 1.7억톤의 LNG 수출 Capa를 갖추며 글로벌 LNG 수출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글로벌 LNG 수입, 수출 전망
[신한투자증권 최민우, 박광래] 종합상사 [2022.10.13]

포스코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

포스코인터내셔널 


​높은 유가로 인해 전사 실적의 핵심을 담당하는 미얀마가스전의 판매단가가 2023년 높은 수준을 기록하며 호실적을 이어나갈 전망이다. 2023년 1월 1일 포스코에너지와 합병하며 POSCO 그룹의 에너지 사업을 예정이다. 단기적으로 합병을 통해 연결된 LNG 밸류체인을 견고히 하는 데 힘쓸 전망이다. 중장기적으로 LNG터미널 확대, LNG운송선 및 벙커링 사업 등으로의 진출을 꾀할 예정이다. 수소혼소발전, 풍력발전, 암모니아(수소) 저장탱크 등 친환경 사업에 힘쓰며 에너지 전문기업으로 탈바꿈이 기대된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경우 7대 핵심 사업을 뒷받침하기 위해 포스코의 철강 해외마케팅 및 수출채널을 통합하였다. 농업-바이오 분야에서는 2021년 12월 싱가폴에 식량 지주회사를 설립하였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올해 8월 포스코에너지 흡수합병을 발표하며 그룹 LNG사업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LX인터내셔널 


2022년 러-우 전쟁으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수급 차질이 심화되며 자원 가격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로 인해 석탄 트레이딩 및 광산 부문은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다가오는 동절기에도 유럽의 불안정한 에너지 수급 상황이 지속되며 석탄 가격은 견조한 흐름을 이어나갈 가능성이 높다. 연말 기대되는 7% 이상의 높은 배당수익률은 주가 하방을 막아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올해 4분기중 포승그린파워(바이오매스 열병합 사업 영위)와 한국유리공업(유리 제조, 판매사업 영위) 인수가 마무리되며 2023년부터 영업이익 500억원 가량이 추가로 더해질 예정이다. 2025년 친환경 물류센터 운영을 시작하며 한층 레벨업된 실적 안정성을 보여줄 전망이다.


LX인터내셔널은 모회사 LX홀딩스가 LG그룹에서 2021년 5월 계열분리되며 기업 성장전략이 변화하였다. 2021년 3월 LX인터내셔널은 정기 주주총회에서 12년 만에 사업목적 추가를 위해 정관을 변경했다. 7개의 사업목적을 추가하며 이차전지, 헬스케어, 친환경 분야를 중심으로 신사업을 추진해 나갈 것을 밝혔다.



포스코인터내셔널, LX인터내셔널
[신한투자증권 최민우, 박광래] 종합상사 [2022.10.13]


종합산사 과거 해외자원개발 현황
[신한투자증권 최민우, 박광래] 종합상사 [2022.10.13]
    • «
    • <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