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아봐
모아봐
  • 커뮤니티
    • 전체
    • 클리앙
    • 82cook
    • 오유
    • 뽐뿌
    • etoland
    • 웃대
    • 개드립
    • 보배
    • 딴지
    • 엠팍
    • 루리웹
    • 가생이
  • SCRAP
  • 주식/부동산
  • 실적정보
  • 목표가 상향/하향 종목
  • 기업별 수주잔고
  • 종목 반등강도
  • 경제캘린더
  • 가격/정보
    • 국가통계포털
    • 원자재가격정보
    • 광물가격
    • 곡물가격동향
    • 국제곡물정보
    • 관광입국/출국자수
    • 제주관광통계
    • 폐지골판지가격
    • 제지산업월별수급
    • 열연가격
    • 조강생산량
    • 탱커운임지수
    • 건설경기지표
    • 유튜브순위
  • 환율차트
    • 달러인덱스
    • OITP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화
    • 달러/위안
    • 달러/원
  • 상품시장
    • 금
    • 은
    • 구리
    • 원유(WTI)
    • 정제마진
    • DRAMexchange
    • 폴리실리콘
  • 시장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탐욕지수
    • CDS프리미엄
    • 미국장단기금리차
    • 미국은행 예금잔액/대출잔액
    • 하이일드채권 수익률 스프레드
    • 미국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GDP-Based Recession Indicator Index
  • 세계금리
    • 미국10년채권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독일10년채권
    • 일본10년채권
    • 한국3년 채권수익률
    • 세계국채수익률
    • 국가별기준금리
    • 미국정크본드 ETF
  • 참고경제지표
    • BDI 지수(발틱운임지수)
    • OECD 경기선행지수
    • 국가별신용등급
    • 달러인덱스와 중국 외환보유고(금 제외)
  • 미국경제지표
    • M1통화
    • M2통화
    • 미국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기업이익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기업재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실업률
    • 생산자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 상승률
    • 10년물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 상승률
    • 미국 원유 생산량
  • 중국경제지표
    • 중국M1통화
    • 중국M2통화
    • 중국 인플레이션
    • 중국 차이신PMI
    • 중국 제조업PMI
    • 중국 생산자가격
    • 중국 주택지수
    • 중국 GDP대비 정부부채
  • 한국경제지표
    • 한국M1통화
    • 한국 인플레이션
    • 한국 수출증가율
    • 한국 주택가격지수
    • 한국/미국 대형주지수 상대강도
    • 국가별수출
    • 한국 GDP대비 정부부채
    홈 커뮤니티 주식 실적정보 밸류체인 수주잔고 부동산

전체 반도체 반도체소재부품 반도체장비 차/전력반도체 후공정/기판 2차전지 2차전지소재 2차전지장비 폐배터리 자동차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수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에너지/원자재 5G/통신 자율주행 AI/AR/VR 로봇 항공/우주/방위 UAM 철강 비철금속 화장품/유통 여행/카지노 음식료 의류신발 폐기물 플라스틱 미용/의료기기 조선/해운 인터넷/보안 게임 엔터/미디어 정유/화학 건설 기계/유틸 투자관련 경제/통계 기타



현대모비스 : 미국 전동화 투자
[삼성증권 임은영] 2023년 전망 China Exodus 와 SDV 경쟁 [2022.11.08]

현대차 기아 북미 시장 동반 진출 부품사 / 현대차그룹 밸류체인

북미와 인도에 동반진출한 부품사들은 현지에서 새로운 매출처 다변화 기회가 예상된다 특히 전기차시대에 신규 아이템으로 제품군을 확장하는 업체는 초기 투자비는 많이 소요되지만 현대차 에의 납품경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업체에 납품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차 기아 북미 시장 동반 진출 부품사 / 현대차그룹 밸류체인
[삼성증권 임은영] 2023년 전망 China Exodus 와 SDV 경쟁 [2022.11.08]

만도, 명신산업 지역별 매출 비중

HL 만도는 원화 약세에 기인한 증익 효과가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Mobileye SoC 등 달러 기반 고가원자재 매입이 달러 기반 매출을 상쇄) 양호한 수익성을 보여주는 체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내수 시장 의존도가 90% 이상인 ADAS 사업부 매출이 다소 약세를 보여왔으나 하반기 현대차그룹 국내 공장 증산에 따른 ADAS 제품군 매출 확대에 기인한 밸류에이션 확장이 기대된다

​

명신산업은 2Q22 부터 미국 텍사스주 소재 심원북미(Simwon NA Corp) 공장을 가동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현지에서 프레스 소재를 조달할 수 있게끔 SCM 이 개편되었기에 하반기 수익성 개선을 전망한다. 기존의 미국 공장은 프레스 소재를 국내로부터 조달해야만 제품화 할 수 있었기에 북미 BEV 선도 고객사 증산 대응에 물류비 영향을 크게 받는 구조였다. 특히 지난 4Q21 에 미국향 물류비 급증으로 적자전환 했었기에 2H22 실적에서 큰 기저효과가 기대된다



만도, 명신산업 지역별 매출 비중
[키움증권 신윤철] 공장 그리고 공정 [2022.10.05]




타이어 수요 부진으로 물류비 감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칠 전망
[삼성증권 임은영] 물류비하락 수혜주, 타이어 말고 자동차부품 [2022.09.14]


내연기관 -> 전기차 전환 시 부품 수 변화
[2022.09.13]




완성차업체 부진한 실적으로 부품업체에 집중
[DB금융투자 김평모] 자동차부품 : 그 이후 [2022.09.07]




미국 현지 생산 기반 확보한 자동차 부품사 수혜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 IRA 산업별 영향 분석 [2022.09.06]




한온시스템 : IRA 시행에 따른 미국 완성차향 수혜
[다올투자증권 유지웅] 신 자동차 전쟁의 시작 [2022.08.29]




현대위아 : 하이브리드 차량 엔진
[다올투자증권 유지웅] 신 자동차 전쟁의 시작 [2022.08.29]

현대차그룹 및 주요 주변 협력사의 xEV 파워트레인 대응 구도: SNT모티브

현대차그룹의 부품공급의 3대 시스템 업체는 현대모비스, 현대위아, 현대트랜시스로 구성된다. 현대트랜시스는 과거 현대차그룹의 성장구간에서 설립된 현대다이모스와 현대파워텍이 합병한 회사로, 현재는 자동변속기/DCT/감속기를 집중 양산 중이다.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경우 엔진-클러치-모터-변속기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된 형태로, 현대트랜시스가 개발 및 양산을 담당한다. 현대모비스는 과거 하이브리드 등 친환경차 전반에 걸쳐 양산을 해 왔으나, 현재는 전기차 플랫폼인 E-GMP를 전담하며 그룹사 파워트레인 물량을 양분하는 구도가 형성됬다 





현대차그룹 및 주요 주변 협력사의 xEV 파워트레인 대응 구도: SNT모티브
[다올투자증권 유지웅] 신 자동차 전쟁의 시작 [2022.08.29]


타이어, 폐타이어 관련 용어 정리
[IBK투자증권 이건재] 그 많던 폐타이어는 어디로 갔나?(엘디카본) [2022.06.09]






센터그릴과 센서
[삼성증권 임은영] 자동차부품 : 새 아이템 다오, Valuation 줄께 [2022.06.08]

배터리시스템 : 아이템별 진출 업체

(1) 배터리 모듈

::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표준화된 개수로 프레임에 적재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 배터리 셀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한 구조와 배터리 셀 각각의 전류/전압/온도를 센싱 할 수 있는 유닛을 포함한다

:: 현대차 아이오닉 5와 기아 EV6의 경우 16개 셀이 하나의 모듈을 구성하고, 10개의 모듈이 하나의 팩을 구성한다.

​

:: 2021년 6월에 배터리 모듈의 아웃소싱 업체가 발표되었다. 언론에 의하면 한국에서 1차로 선정 업체는 세방전지이다. 한편, 세방전지의 주력 납품 완성차 업체는 현대차그룹이 아닌 볼보인 것으로 파악된다.

:: 2차 선정 업체는 덕양 산업 컨소시엄이다. 수주의 주체는 덕양산업(지분율 80%)과 서연이화(지분율 10%), 세종공업(지분율10%)이 JV로 설립한 ‘DSS ENERGYCELL’이다.

:: 덕양산업은 2021년 5월 미국 조지아주에 배터리 모듈 공장 건설을 위해 1천만 달러 투자를 공시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차 미국 전기차 공장에도 덕양산업이 배터리 모듈을 납품할 가능성이 높다.

​

:: 한편, 배터리 모듈의 경우 단가는 크겠지만, 부가가치가 높지 않아 수익성은 낮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완성차 업체가 배터리 시스템에 대해 Cell to Pack, Cell to Body 구조를 통해 원가 혁신을 추진 있어, 배터리 모듈의 중요성과 역할은 중장기적으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2) 배터리 케이스

::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모듈을 적재하는 케이스로, 소재는 알루미늄과 복합 소재가 사용된다.

:: 바디 업체인 성우하이텍과 섀시 업체인 화신, 동희가 배터리 케이를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 아이오닉 5와 6는 동희가, 기아 EV6의 경우 성우하이텍이 배터리 케이스를 수주하였다.

:: 성우하이텍은 2021년 3월 현대모비스의 전동화 부품 공장이 위치한 충주에 720억원을 투자하여, 배터리 케이스 공장을 신설하였다.

:: 화신은 미국에 현대차 알라바마 공장 건설 시기에 동반 진출하였고, 동희와 성우하이텍은 기아 멕시코 공장에 동반진출해 있다

:: 성우하이텍은 1Q22부터 멕시코 공장에서 GM 전기차에 배터리 케이스를 납품하고 있어, 다른 업체 대비 납품 경험이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BMS

:: BMS는 배터리 셀과 시스템의 품질, 열 전도, 과부하 상태 등을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시스템이다.

:: 향후 한국과 유럽 시장에서 BMS는 현대모비스와 에스엘이 양분하여 수주할 것으로 예상

​

(4) 배터리팩

:: 배터리 모듈에 BMS, 냉각 팬을 포함한 온도 조절 장치, 인버터, 컨버터 등 전원 차단 및 관리 장치, 보호 시스템을 장착하여 완성된다.

:: 현대모비스는 이를 BSA(Battery System Assembly)라고 명칭한다. BSA와 구동 모터는 최소 2025년까지는 현대모비스의 독점 공급 지위가 유지될 전망이다.

:: 현대모비스는 CATL과 함께 Cell to Pack에 대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배터리 전체 시스템에서 대한 영향력은 향후에도 유지될 전망이다. :: 배터리 시스템의 구조 변화(Cell to Pack/ Cell to Body)로 인해 중·장기적으로는 BMS와 BSA를 담당하는 부품사가 부가가치를 높게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배터리시스템 : 아이템별 진출 업체
[삼성증권 임은영] 자동차부품 : 새 아이템 다오, Valuation 줄께 [2022.06.08]




배터리 관련 시스템 - 배터리모듈, 배터리케이스
[삼성증권 임은영] 자동차부품 : 새 아이템 다오, Valuation 줄께 [2022.06.08]
    • <
    • 1
    • 2
    • 3
    • 4
    • 5
    • 6
    • 7
    • >

‹ › ×
    webnuri7@gmail.com Moabb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