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관련주

뉴로메카 28,000( -3.95) 0.54 8.11 8.95 28.15 23.89
레인보우로보틱스 344,000( 4.4) 11.87 9.9 16.81 26.24 24.41
로보로보 6,560( -1.94) 3.96 -2.24 2.34 36.67 40.17
로보티즈 192,100( 0.42) 22.51 23.06 92.1 123.11 245.5
브이원텍(시스콘) 5,530( 0.18) -0.9 0 -3.32 7.17 13.9
에브리봇 20,650( 6.17) 12.47 5.84 23.5 24.25 21.83
에스비비테크 26,300( 0.77) 8.23 11.21 13.85 25.84 24.64
에스피지 30,650( 0.49) 13.52 15.66 7.92 24.34 19.73
유일로보틱스 76,000( 1.47) 11.11 7.95 1.88 9.67 3.26
유진로봇 11,630( 0.69) 8.49 4.03 0.43 11.29 15.03
티라유텍(티라로보틱스) 5,540(0) 4.92 3.94 1.09 8.84 5.32
티로보틱스 13,550( -1.09) 14.15 9.81 9.63 27.23 16.41
피앤에스미캐닉스 16,260( 3.83) 11.91 9.35 13.79 20.09 28.23
하이젠알앤엠 54,900( 16.31) 30.56 26.94 35.39 74.84 56.19
현대위아 47,950( -1.13) -3.33 -0.62 -8.67 -5.24 4.24
로봇관련주
ND 뉴로메카 (34834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28,000( -3.95) 0.54 8.11 8.95 28.15 23.89 73 62 81 31 34 -53.4% 9.7% -42 0% -56 0% -37 0% -40 0% -41 0% 적자 적자 2,953억
- 뉴로메카는 협동로봇 기반의 제품군을 통해 F&B 사업의 확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금번 행사에서 인디7 제품은 음성인식 기술이 적용되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
- 아크센싱 기반 용접 추종 솔루션과 3D 비전 기반 용접선 추출 솔루션이 통합된 협동로봇 용접솔루션을 공개하며 정확도 향상 달성
- AMR 플랫폼인 모비(Moby)의 경우 협동로봇 인디가 탑재되어 작업 영역이 확대되며 목적에 따른 다양한 용도 활용이 가능할 전망
- 협동 로봇의 안전기능을 추가한 협동형 산업용 로봇인 아이콘(Icon)을 통해 산업용 로봇 시장 본격 공략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
- 충돌 감지 알고리즘, 레이저 스캐너 등의 안전 장치가 추가됨에 따라 기존 산업용 로봇 대비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
ND 레인보우로보틱스 (27781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344,000( 4.4) 11.87 9.9 16.81 26.24 24.41 31 34 96 41 62 100% 51.2% -25 0% -10 0% 10 10.4% -14 0% -20 0% 적자 적자 66,735억
-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기존 협동로봇 시리즈인 RB시리즈에서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음
- 2024년도 출시 예정인 RB시리즈 NRTL/CSA 인증 버전의 경우 북미 인증 더블 획득에 따라 북미 시장 개척에 속도를 더할 것으로 기대
- RB-N 시리즈의 경우 세계 최초 NSF(미 위생협회) 인증 협동로봇이며, 안전성을 인정받아 로봇 단일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향후 F&B 용도로 산업 확장성이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
- 서빙로봇 RBM-SRV를 공개하였는데 Grid-Free SLAM 기술을 적용하여 위치 정밀도를 높였으며 AI 자율주행 기술 내재화
- AMR 제품군으로도 포트폴리오 확장이 진행 중인데 2023로보월드에서는 RBM-100kg, 200kg, 300kg 제품이 전시되었으며 현장 수요에 맞추어 고중량 AMR 시리즈를 확대해나갈 계획
ND 로보로보 (21510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6,560( -1.94) 3.96 -2.24 2.34 36.67 40.17 33 30 37 31 34 3% 9.7% -2 0% -4 0% -4 0% -3 0% -2 0% 적자 적자 1,334억
ND 로보티즈 (10849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192,100( 0.42) 22.51 23.06 92.1 123.11 245.5 80 68 69 102 78 -2.5% -23.5% 0% -14 0% -6 0% 7.8% 2.6% - -75% 25,063억
ND 브이원텍(시스콘) (25163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5,530( 0.18) -0.9 0 -3.32 7.17 13.9 153 200 192 52 134 -12.4% 157.7% -15 0% 0.5% -24 0% -36 0% -37 0% 적자 적자 881억
- 시스콘은 브이원텍의 자회사(지분 50.1%)로 AMR/AGV 등 물류 로봇을 제조하는 기업
- 로보월드를 통해 AMR, 서비스용 물류 로봇 등을 선보였으며, 인수합병한 한성웰텍의 제품에 솔루션을 적용한 무인지게차도 전시
- 라이다 센서와 3D 카메라를 통한 SLAM 기술로 자율 주행 기능을 탑재하였고, 1T까지 적재 가능한 AMR 로봇 포트폴리오 보유
- 시스콘은 현대차를 물류 로봇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차는 시스콘의 AMR을 자체 관제 시스템에 연동하여 내부 공정에 사용
- 자체적인 제어 시스템 또한 보유하고 있고 글로벌 고객사향 납품이 확대가 가속화되며 물류 로봇 수주 잔고는 지속 증가 추세
- 모회사인 브이원텍 본업인 2차전지 검사 장비 시스템 또한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 공장 증설에 따라 수혜 지속
ND 에브리봇 (27066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20,650( 6.17) 12.47 5.84 23.5 24.25 21.83 89 72 69 40 85 -4.5% 112.5% -4 0% -2 0% -7 0% -20 0% 0% - - 2,525억
- 에브리봇은 청소 로봇 전문 기업에서 기반 기술력을 토대로 서비스용 로봇(서빙 로봇)을 제조하는 기업으로 변화 중인 기업
- V-SLAM, LiDAR 센서, 3스테레오 비전 센서 등 서빙 로봇 기술을 자체적으로 보유하며 다양한 사이즈의 서빙 로봇 공급
- 서빙 로봇 판매부터 방문 설치, A/S까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국내 F&B 식당
- 에브리봇의 서빙 로봇은 호출벨, NFC 진동벨, 룸 도착 알림 등 식당 상황에 맞는 솔루션 적용 가능
- 또한 RaaS(로봇 구독 서비스)를 적용하여 정해진 기간 월 결제를 통해 적용 진입 장벽 낮춤
- 다양한 라인업으로 호텔, 병원, 공장, 물류 창고, 카페, 스크린골프장, 일반 매장 등에 적용을 목표
ND 에스비비테크 (38950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26,300( 0.77) 8.23 11.21 13.85 25.84 24.64 16 11 16 11 18 12.5% 63.6% -17 0% -18 0% -15 0% -18 0% -19 0% 적자 적자 1,623억
- 에스비비테크는 세라믹 베어링, 초박형 베어링을 국산화한 이력이 있으며, 현재 정밀 감속기 국산화 기업으로 양산화에 성공
- 베어링은 Cross Roller 기술과 Fexible Slim 기술을 통해 높은 탄성과 강성을 가져 장비와 방산 등으로 활용처 확대
- 감속기 또한 자체적인 치형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2축, 3축 감속기를 제작했으며, 한화D를 통해 방산 제품에 적용
- 로보월드에서 전력 효율, 소음, 진동 및 경량화 모델 2.5세대 감속기를 공개하였으며, 소재 대체와 높은 설계 기술 확인
- 2.5세대 감속기는 2세대 대비 약 60% 무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강성과 탄성을 유지하여 웨어러블 로봇에서 활용 가능성 多
- 방산향 매출이 주를 이루던 감속기 매출은 FPD 이송로봇, 자동차, 서비스 로봇, 웨어러블 로봇 등으로 확장 전망
ND 에스피지 (05861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30,650( 0.49) 13.52 15.66 7.92 24.34 19.73 1004 922 981 932 805 -19.8% -13.6% 35 3.5% 33 3.6% 25 2.5% 40 4.3% 39 4.8% 11.4% -2.5% 6,797억
- 에스피지(SPG)는 일본 하모닉드라이브 감속기 국산화를 성공한 업체로, 협동 로봇 관절용 SH감속기와 산업용 로봇 관절로 사용되는 SR감속기를 주요 제품으로 보유
- 기존 제품인 모터(표준 AC/DC/BLDC 타입)에서 유성감속기, SH감속기, SR감속기 정밀감속기 제품을 개발 및 양산 중
- 국내 주요 로봇 업체 R사 향 SR감속기 상용화에 성공한 국내 유일 업체로 로봇 핵심 부품인 감속기 성장 동력 확보
- 국내 로봇 완성품 업체들의 매출 성장과 동행하는 감속기 실적을 보여줄 전망, 정밀 감속기는 로봇 원가의 30~40%를 차지하는 핵심부품으로 향후 고객사 확보 전망
-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출시될 4족 보행 로봇 및 웨어러블 로봇용 감속기에도 공급 가능성 확대 전망
ND 유일로보틱스 (38872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76,000( 1.47) 11.11 7.95 1.88 9.67 3.26 83 100 88 100 70 -15.7% -30% 3.6% 1% 10.2% 4% -41 0% 적전 적전 8,704억
- 유일로보틱스는 직교로봇, 다관절로봇, 협동로봇의 세 가지 종류의 산업용 로봇을 제조 및 판매
- 제품 핸들링 전용 로봇인 직교로봇과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다관절로봇은 자동차, 전기/전자, 금형 등 다양한 산업군에 상용화 중
- 직교로봇의 매출 비중이 현저히 높지만, 공장 자동화 수요 증가에 따른 복잡 작업이 가능한 협동 로봇의 수요 또한 증가할 전망
- 산업용 로봇뿐 아니라 자동화 시스템 및 스마트 팩토리 플랫폼을 개발하며 산업 자동화에 필요한 전체 풀 라인업 구축
- 로봇 제진 제어 기술, 가감속 제어기술, 클라우드 기술 등 원천기술 기반 다양한 산업 내 1,600여개의 고객사 확보
ND 유진로봇 (05608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11,630( 0.69) 8.49 4.03 0.43 11.29 15.03 79 62 18 14 28 -64.6% 100% 10 12.7% -16 0% -6 0% -25 0% -28 0% 적전 적자 4,362억
- 유진로봇은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와 AMR 및 AMR Custom 솔루션 등 스마트팩토리 자동화 기술력을 공개
-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는 다양한 종류의 로봇과 자동화 설비를 개발해 자동차, 반도체 등 제조업 분야에 공급 중
- AMR은 고카트 180, 250, 500을 통한 물류 이송을 선보였고, 다양한 공정에 활용 가능한 저상형 AMR과 맞춤형 AMR도 공개
- 지난 8월 유진로봇과 LG유플러스는 물류 로봇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
- 기존 물류 로봇은 와이파이를 통한 제어가 주를 이뤘으나 와이파이 통신 장애 및 통신 장비 설치 비용 등의 문제점 5G를 통해 극복
- 5G를 사용하면 구매자로 하여금 통신 장비 비용인 수천만원을 아끼고 5G 구독 비용 몇만원 단위로 투자 비용 낮아지는 효과
ND 티라유텍(티라로보틱스) (32218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5,540(0) 4.92 3.94 1.09 8.84 5.32 149 126 154 121 154 3.4% 27.3% -12 0% -19 0% -22 0% -29 0% 0.6% 흑전 흑전 915억
- 티라로보틱스는 티라유텍의 자회사(지분 68.4%)로 자체 개발한 AMR 생산하고 있으며, 항공, 물류, 제조업 등으로 공급
- AMR은 200kg~1T까지 탑재 가능하고 리프트, 컨베이어, 로봇 팔, 사람 추종형 등 추가 기능 탑재 가능
- 요철 주행, 단차 극복, 경사로 주행 등이 가능한 AWG 시스템을 기반으로 로봇 적용이 부적합한 노면에서도 안정적인 운행 가능
-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는 모회사 티라유텍과 시너지 효과를 통해 통합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H/W+S/W) 공급
- SK는 티라유텍 2대주주로 SK실더스와 티라로보틱스가 RaaS(로봇 구독 서비스)를 위한 MOU 체결로 물류 로봇 공급 중
ND 티로보틱스 (11773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13,550( -1.09) 14.15 9.81 9.63 27.23 16.41 121 234 98 126 109 -9.9% -13.5% -35 0% 15 6.4% -25 0% 1.6% -10 0% 적자 적전 2,416억
- 디스플레이 진공 로봇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AMR, F&B 로봇, 웨어러블 로봇 등 신사업 확장 중
- 티로보틱스는 로보월드에서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웨어러블 로봇(HEALBOT-H)과 보행 보조 로봇(MYOSUIT)을 전시
- 디스플레이 장비 사업은 전방 산업 부진에 따라 매출이 부진했지만, 2차전지 공정 자동화에 AMR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신사업 확장
- AMR은 2차전지뿐만 아니라 반도체, 전기·전자, 물류 기업과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F&B 로봇도 고객사와 테스트 확대 중
- 국내 AMR 자체 기술을 가진 몇 안되는 기업으로 물류 자동화 적용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
ND 피앤에스미캐닉스 (46094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16,260( 3.83) 11.91 9.35 13.79 20.09 28.23 17 14 30 20 26 52.9% 30% 29.4% 0% 11 36.7% 15% 12 46.2% 140% 300% 1,052억
ND 하이젠알앤엠 (16019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54,900( 16.31) 30.56 26.94 35.39 74.84 56.19 183 188 194 181 167 -8.7% -7.7% 1.6% -4 0% -8 0% -23 0% -13 0% 적전 적자 16,957억
ND 현대위아 (011210)
주가 7 14 30 60 120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2024.2Q 2024.3Q 2024.4Q 2025.1Q 2025.2Q YoY QoQ 시총
47,950( -1.13) -3.33 -0.62 -8.67 -5.24 4.24 22331 21012 17049 20618 21786 -2.4% 5.7% 692 3.1% 529 2.5% 369 2.2% 485 2.4% 563 2.6% -18.6% 16.1% 13,040억
- 현대위아는 현대 그룹에서 자체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Cobot(Arm)과 AMR을 결합시킨 MPR(Mobile Picking Robot)을 공개
- AMR은 SLAM 방식이 채택된 자율 물류 이송로봇으로 차상 창치가 고정된 상태로 하부 플랫폼 주행, 턴 가능한 KIVA Turn 기능 탑재
- 차량 자동 운송 로봇(주차 로봇)은 차량 하부에 들어가 차량 바퀴를 인식하고 타이어를 들어올려 자동으로 주차시키는 로봇
- 주차 로봇 및 주차 차량을 모니터링 하는 스마트 주차 관제 시스템과 물류 로봇 통합 관제 시스템(ACS)도 공개